[티티씨뉴스 = 글 왕보현 기자, 사진 이종원 사진가(강릉) ]
3일 오전 남대천 하구 나뭇가지 위에 앉아 주변의 먹잇감을 찾던 말똥가리에게 지역 철새인 까치 무리가 덤벼들었다. 한 치의 양보도 없는 싸움이 한창이다.
![]() |
▲ 흰꼬리수리(왼쪽)와 이 지역의 텃새인 까마귀가 영역 싸움을 벌이고 있다. |
![]() |
▲ 겨울철 많이 목격되는 맹금류중 하나인 말똥가리는 텃새인 까치 무리에게 당해내질 못한다. 1:1싸움에서는 경쟁이 안 되지만 단독 생활을 하는 말똥가리에게 떼로 몰려다니는 까치가 영역 확보를 위해 다투는 모습은 쉽게 관찰된다. |
나무아래 넓은 습지에는 백조의 호수가 연출되었다. 온통 하얀색 큰 몸집에 긴 목을 가진 한 무리가 잔잔한 물결을 가르며 유영한다. 또 한 무리는 무엇에 놀랐는지 달음질치듯 수면을 박찬 뒤 몸집 보다 훨씬 큰 날개를 펴고 상공으로 날아오른다. 어디선가 연신 카메라 셔터 누르는 소리도 들린다. 탐조객들의 눈길을 사로잡는 녀석들은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큰고니(천연기념물 제 201-2호)’이다.
![]() |
▲ 온통 하얀색 큰 몸집에 긴 목을 가진 ‘큰고니(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천연기념물 제 201-2호)’ 가족이 잔잔한 물결을 가르며 유영하고 있다. |
![]() |
▲ 비오리 |
![]() |
▲ 멸종 위기등급 관심대상인 털발말똥가리 |
![]() |
▲ 홍여새 |
![]() |
▲ 민물가마우지 |
20여 년 째 강릉 지역에서 생태 사진을 전문적으로 촬영해온 이종원(강릉·74) 씨는 “사업에서 은퇴하고 지금은 매일 남대천과 경포호로 출근한다. 새들과 교감하고 그들의 일상을 기록하는 것이 두 번째 직업이 되었다”면서 “그 동안 희귀한 새도 많이 촬영하고 우리 지역을 찾는 새들은 거의 빠짐없이 기록했다”고 말한다.
![]() |
▲ 경포호 상류 경포가시연습지 경포석호와 습지의 복원을 위해 지역의 전문가, NGO, 지역주민 및 공무원이 참여하는 협의체인 ‘경포습지복원자문위원회’를 구성해 대상지에 대한 다양한 토론과 협의를 해 복원의 방향을 설정했으며 복원대상지공간구성은 ‘UNESCO-MAB(Man And the Biosphere) 인간과 생물권 프로그램’ 개념을 도입해 핵심구역, 완충구역, 전이구역으로 나누어 습지를 조성했다. |
그러면서 “하지만 해마다 강릉 지역을 찾는 새들의 숫자와 종류가 줄어들고 있어 안타깝다. 강릉시와 지역 주민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
▲ 멧종다리 |
![]() |
▲ 흰꼬리수리와 까마귀 무리가 영역싸움을 하고 있다 |
[저작권자ⓒ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