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대 사장과 사우디 수자원청장 협력 강화 한뜻
- 25일 中 베이징서 양자 면담, 물 문제 해소방안 논의
- ‘물 안보 확보’ 공동 목표로 공감
- 제다시(市) 사업 모델 타지역 확대 구체화
- 사우디 기후 대응 및 포스트 오일 전환 지원
[티티씨뉴스=왕보현 기자]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포스트 오일 시대를 준비하고 있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물 분야 핵심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왼쪽)은 9월 24일 ‘제3차 아시아국제물주간(Asia International Water Week)’이 열리고 있는 중국 베이징 현지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수자원청 압둘라 알 압둘카림(Abdullah Al-Abdulkariem) 청장과 양자 회담을 하고 사우디아라비아의 현지 물 문제 해소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사진=한국수자원공사 제공) |
윤석대 사장은 9월 24일 ‘제3차 아시아국제물주간(Asia International Water Week)’이 열리고 있는 중국 베이징 현지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수자원청 압둘라 알 압둘카림(Abdullah Al-Abdulkariem) 청장과 양자 회담을 하고 사우디아라비아의 현지 물 문제 해소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담은 지난 7월 팀 네이버와 사우디아라비아 NHC(National Housing Company) 간 실시협약이 체결된 이후 성사된 것으로 그 의의가 더 크다. 한국수자원공사는 팀 네이버의 협력사로서 실시협약에 따라 사우디아라비아의 물 재해 예방을 위해 3대 초격차 기술인 디지털트윈 물관리 플랫폼 기술을 현지 맞춤형으로 본격 개발하고 있다. 디지털트윈은 3D 모델링을 통한 가상공간에서 각종 상황을 사전에 시뮬레이션한 뒤 그 결과를 분석하여 최적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기술이다.
이날 윤석대 사장은 수자원청장과 디지털트윈 플랫폼 협력사업 추진현황을 공유하고, 물주간 행사 주제가 ‘우리의 미래 물 안보 향상(Enhancing Our Future Water Security)’인 만큼 물 안보를 공동 목표로 실행해 가기로 뜻을 모았다.
특히, 현재 제다시(市)에 구축하고 있는 물관리 분야 디지털트윈 모델을 사우디아라비아 내 다른 지역으로 확대하는 것도 주요 이슈로 거론됐다. 이를 위해 협력 분야를 구체화하고 기술 교류 등의 논의를 지속하기로 하였다.
이에 더해, 사우디아라비아가 지형 특성 등에 따른 물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해수담수화와 같은 대체수자원 개발을 중점 추진 중인 만큼, 지속 가능한 수자원 확보를 위한 공동연구 등의 논의도 확대하기로 하였다.
이 밖에도, 수자원청장은 2030년 제5차 아시아국제물주간을 사우디아라비아에 유치하기 위해 글로벌 물 문제 해소를 위한 연대의 구심점으로서 아시아물위원회(AWC) 의장기관인 한국수자원공사의 지지를 요청했으며, 양 기관은 아시아물위원회 플랫폼을 활용한 협력을 이어가기로 하였다.
 |
▲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왼쪽 세 번째)과 관계자들은 9월 24일 ‘제3차 아시아국제물주간(Asia International Water Week)’이 열리고 있는 중국 베이징 현지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수자원청 압둘라 알 압둘카림(Abdullah Al-Abdulkariem) 청장을 만나 사우디아라비아의 현지 물 문제 해소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했다.(사진-/=한국수자원공사 제공) |
사우디아라비아는 국토 대부분이 건조한 사막 지형임에도 기후변화로 폭우가 내리기도 하며 첨단 물관리 역량이 중요해지고 있어 포스트 오일 시대를 대비해 디지털 과학기술 산업 국가로의 전환이 핵심과제로 떠올랐다.
이에 따라 한국수자원공사는 디지털트윈 등 초격차 물관리 기술을 기반으로 물 분야 파트너십을 강화하여 기후변화 대응과 포스트 오일 시대를 준비하는 사우디아라비아를 지원한다. 나아가 인프라 협력 고도화로 에너지, 건설 등 전통적인 협력 분야를 탄소중립 분야로 확대하는 ‘중동2.0’ 시대를 준비하는 정부 정책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은 “이번 회담은 우리의 초격차 물관리 기술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협력 공간을 넓힐 수 있던 값진 기회였다”며 “긴밀한 협력으로 사우디아라비아의 포스트 오일 시대로의 전환을 적극 지원하고, 정부 중동2.0 구상의 성공과 국내 물 산업이 중동에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을 넓혀나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수자원공사는 26개국 171개 회원기관이 참여하는 아시아물위원회(Asia Water Council) 의장기관으로서 글로벌 물 문제 해결을 선도하고 있으며, 2027년 ‘제11차 세계물포럼(World Water Forum)’ 개최국인 사우디아라비아와는 물관리 디지털트윈 플랫폼 구축 등 물관리 분야의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
[저작권자ⓒ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