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티씨뉴스=왕보현 기자]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기후위기 대응을 선도하는 글로벌 물기업’으로 도약을 위한 목표를 구체화하고, 목표 달성을 위해 힘찬 발걸음을 내디딘다.
![]() |
▲ 14일 대전 본사에서 열린 창립 57주년 기념식에서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이 기후위기 대응을 선도하는 글로벌 물기업으로서 ‘2035년 글로벌 Top 2 물기업 진입’ 목표를 설정하고 글로벌 물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겠다고 밝히고 있다(사진=한국수자원공사 제공) |
한국수자원공사는 창립 57주년을 맞아 14일 ‘2035년 글로벌 Top 2 물기업’으로 도약해 글로벌 물시장의 선두주자로 자림매김 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은 14일 대전 본사에서 열린 창립 57주년 기념식에서 ‘2035년 글로벌 Top 2 물기업 진입’이라는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며, 2029년 1,654조 원의 급성장하는 글로벌 물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6월 취임 이후 국민이 바라는 변화와 혁신으로 새로운 물의 시대를 개척하겠다고 강조해 온 윤석대 사장은, 이어 11월 기후위기로 물관리가 전 지구적 난제가 된 새로운 물의 시대에 맞서 ‘기후위기 대응을 선도하는 글로벌 물기업’이라는 신비전을 선포하고 물산업 혁신 등을 통해 글로벌 물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임을 밝힌 바 있다.
이날 행사에서는 한단 계 더 나아가, ‘글로벌 Top 2 물기업’이라는 구체적 목표와 함께, 올해 7월 발족한 ‘글로벌 스케일업 전략 추진단’의 성과를 점검하고 글로벌 물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세부적인 실행 전략에 옮길 것을 강조하였다.
그간 추진단은 물 분야에서 세계적인 전문 분석기관인 블루필드리서치(Bluefield Research) 등과 협업에 더해, 유엔환경계획(UNEP)을 비롯한 16개 국제기구 및 민간기업과 소통하며 해외사업 성공 전략을 마련해 왔다.
기존 방식이 댐, 정수장 등의 인프라 개발 위주의 사업이었다면, 이제는 기존 인프라에 디지털 혁신 기술을 더한다. 이를 기반으로, 아시아를 비롯하여 미국, 유럽 등 선진국 시장까지 노리며 글로벌 물기업이자 기후테크 기업으로 거듭날 계획이다.
특히, 글로벌 등대에 빛나는 인공지능(AI) 정수장,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제2의 중동 붐을 개척할 물관리 디지털트윈 등 초격차 물관리 기술과 같이 물을 활용한 디지털 원천기술*이 기반이 된 수출 전략에 집중했다.
![]() |
▲ 14일 대전 본사에서 열린 창립 57주년 기념식에 참석한 한국수자원공사의 임직원들이 한마음으로 ‘글로벌 Top 2 물기업 진입’ 도약을 응원하고 있다.(사진=한국수자원공사 제공) |
[저작권자ⓒ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