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경궁-종묘 연결 역사복원사업’ 12년 만에 완료
- 1932년 일제가 율곡로 개설해 갈라놔
- 축구장보다 넓은 8,000㎡ 녹지로 연결,
- 일제가 허문 궁궐담장 503m와 북신문 원형복원
- 궁궐담장 따라 산책할 수 있는 340m ‘궁궐담장길’ 신설
[티티씨뉴스=왕보현 기자]
일제강점기 끊어졌던 창경궁과 종묘 사잇길이 90년 만에 다시 이어졌다.
 |
▲ 서울시가 창경궁(왼쪽)과 종묘(오른쪽)를 단절시킨 율곡로를 지하화하고 윗부분 약 8000㎡를 녹지로 이어 오는 22일 시민들에게 개방한다. 일제가 1932년 광화문에서 조선총독부의원(서울대병원)까지 이어지는 ‘종묘관통도로’(율곡로)를 개설하며 길이 끊어 놓은지 90년 만이다. (사진=서울시 제공) |
서울시는 종묘와 창경궁을 단절시킨 율곡로를 터널화하고 터널 윗부분 약 8000㎡를 녹지로 이어 오는 22일부터 시민들에게 개방한다고 20일 밝혔다.
 |
▲ 궁궐담장은 원형이 남아있는 주변 담장형식을 토대로 하고, 1907년 제작된 <동궐도>, 1931년 발간된 <조선고적도> 등 관련자료를 참고해 최대한 원형 그대로 복원했다. 복원공사 중 발굴된 기초석에 맞게 지반의 높이를 옛 모습대로 맞추고, 공사 중 발굴된 종묘 담장의 석재와 기초석 30% 이상을 재사용했다. 발굴된 옛 궁궐담장 기초석은 원래 자리에 보존‧전시했다.(사진=서울시 제공) |
종묘는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위패)를 모신 왕가의 사당으로, 1995년 12월 국내 최초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원래 창경궁과 담장을 사이에 두고 하나의 숲으로 이어져 있었지만, 1932년 일제가 광화문에서 창덕궁 돈화문을 거쳐 조선총독부의원(서울대병원)으로 이어지는 ‘종묘관통도로’(율곡로)를 개설하며 갈라졌다. 이 과정에서 임금이 비공식적으로 종묘를 방문할 때 이용했던 ‘북신문(北神門)’도 사라져버렸다.
서울시는 도로를 지하화한 위치에 넓은 녹지축을 만들면서, 503m 길이의 창경궁과 종묘 사이 궁궐 담장과 북신문도 복원했다.
 |
▲ 일제의 종묘관통도로 개통과 함께 사라졌던 북신문(北神門)도 복원됐다. 조선시대 임금이 비공식적으로 종묘를 방문할 때 이용했던 문이다. 서울시 제공 |
담장은 원형이 남아있는 구간과 〈동궐도〉(1907년), 〈조선고적도〉(1931년) 등을 참고하고 공사 중 발굴된 옛 종묘 담장의 석재와 기초석을 30% 이상 다시 사용해 재구성했다. 북신문은 〈종묘의궤〉와 〈승정원일기〉 등 문헌에 기반해 규모와 형태가 가장 유사한 창경궁의 동문(東門)인 월근문(月覲門)을 참고해서 복원했다.
 |
▲ 90년 간 창경궁(아래쪽)과 종묘(위쪽)를 단절시킨 율곡로가 지하화되고 윗부분 녹지로 다시 이어졌다. (사진=서울시 제공) |
당시 이 자리에 새로 도로를 만든 것이 창경궁에서 종묘로 흐르는 북한산의 주맥을 도로로 끊으려는 의도였다는 해석도 있다. 〈조선왕조실록〉(세종 93권)을 보면 “창덕궁 조계청(朝啓廳) 및 동월랑(東月廊)과 집현전 장서각(藏書閣)이 모두 종묘(宗廟)의 주산 내맥(主山 來脈)에 있다”며 “종묘에 왕래하는 데에 통하게 모두 다 헐어 버리고 따로 새길을 내라”는 풍수지리에 대한 언급도 등장한다.
90년 간 창경궁(아래쪽)과 종묘(위쪽)를 단절시킨 율곡로가 지하화되고 윗부분 녹지로 다시 이어졌다. 서울시 제공
종묘관통도로와 함께 궁궐 담장, 임금이 비공식적으로 종묘를 방문할 때 이용했던 북신문(北神門)도 사라졌다.
 |
▲ 종묘에서 바라본 북신문(사진=서울시 제공) |
일제가 1932년 광화문에서 조선총독부의원(서울대병원)까지 이어지는 ‘종묘관통도로’(율곡로)를 개설하며 길이 끊어 놓은지 90년 만이다. 서울시 제공일제의 종묘관통도로 개통과 함께 사라졌던 북신문(北神門)도 복원됐다. 조선시대 임금이 비공식적으로 종묘를 방문할 때 이용했던 문이다. 서울시 제공
일제의 종묘관통도로 개통과 함께 사라졌던 동궐과 종묘 사이 궁궐 담장도 복원됐다. 발굴된 옛 종묘 담장의 석재와 기초석은 30% 이상 다시 사용했다.
© 경향신문
일제의 종묘관통도로 개통과 함께 사라졌던 동궐과 종묘 사이 궁궐 담장도 복원됐다. 발굴된 옛 종묘 담장의 석재와 기초석은 30% 이상 다시 사용했다.
담장 주변으로 조성된 8000㎡ 규모의 숲에는 창경궁과 종묘에 많은 참나무류와 소나무, 귀룽나무, 국수나무, 진달래 등 한국 고유 수종 760주, 관목·화초를 심었다.
 |
▲ 복원된 담장(사진=서울시 제공) |
또 복원된 궁궐 담장을 따라 산책할 수 있는 폭 3m의 길도 새로 냈다. 돈화문 앞에서 창경궁 내부를 거쳐 원남동사거리까지 340m 길이로 이어지는 ‘궁궐담장길’은 계단과 턱이 없는 완만한 경사로 설계됐다. 또 원남동사거리에는 산책로로 연결되는 엘리베이터 1대도 설치되었다.
 |
▲ 담장길 소나무숲(사진=서울시 제공) |
지난 2011년 시작된 역사복원사업이 12년 만에 완료되면서 창경궁과 종묘의 원래 연결 구조는 되살아났지만 당분간 사잇길을 통해 양쪽을 오갈 수는 없는 상태다. 현재 창경궁은 자유관람이지만 종묘는 예약을 통해 시간제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창경궁과 창덕궁은 함양문으로 연결돼 있어 북신문이 개방되면 동궐과 종묘 사이를 오가면서 볼 수 있다.
 |
▲ 원남동 사거리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사진=서울시 제공) |
서울시 관계자는 “창경궁과 종묘 사이를 자유롭게 오갈 수 있도록 문화재청과 협의 중”이라며 “궁궐담장길에 매표소를 설치하고, 함양문을 통해 창덕궁과 창경궁을 통행하는 것처럼 진출입 체계를 만들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