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티씨뉴스=왕보현 기자]
섬 농수산물 소비활성화를 위한 논의의 장이 마련됐다.
최근 진도 대파가 맥도날드와 협업으로 히트를 친 가운데 관련 전문가들이 섬 농수산물 소비를 위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 한국섬진흥원(KIDI)은 10일 오후 청사 1층 한섬원아카데미실에서 ‘섬 지역 식문화의 지역자원화 및 관광상품화를 위한 전문가 포럼’(이하 섬 식문화 관광상품화 포럼)을 개최했다(사진=한국섬진흥원 제공) |
▲ 한국섬진흥원(KIDI)은 10일 오후 청사 1층 한섬원아카데미실에서 ‘섬 지역 식문화의 지역자원화 및 관광상품화를 위한 전문가 포럼’(이하 섬 식문화 관광상품화 포럼)을 개최했다 |
먼저 1세션(섬 농수산물 소비활성화)에서는 섬 농수산물을 복합적으로 활용가능한 지역자원으로 재해석할 수 있다는 내용이 주를 이뤘다.
김태완 한국섬진흥원 부연구위원은 “농수산물을 소비하는 방법에는 도매시장 등 일반 유통이나 직거래, 학교급식과 같은 대량 수요처 소비 등이 있다”면서도 “농수산물 자체가 아닌 농수산자원으로 재해석한다면 농수산물 소비뿐만 아니라 농수산업 이외의 지역 산업과 연계하여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박상식 다기능농업연구소 대표는 “다원적·다기능 관점으로 섬 지역 농수산물에 대한 접근 방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박현 진도군농수산유통사업소 팀장은 진도 대파의 안정적 소비처 개발을 위한 진도군의 노력 중 하나로 진도 농수산물의 판로 확대를 위해 맥도날드 등 대형기업과 협업한 사례를 소개했다.
2세션(섬 관광활성화를 위한 식문화 활용)은 ㈜태평소금, 다시지역컴퍼니 관계자의 관광자원화 사례 중심으로 채워졌다.
김양정 ㈜태평소금 상무는 “흔히 소금은 짠맛을 내는 식재료로 인식되지만, 태평염전에서는 소금 생산뿐만 아니라 6차산업화를 통해 소금아이스크림, 소금사탕 등을 가공하는 한편 석조소금창고 등을 활용해 소금박물관을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장상기 다시지역컴퍼니 대표는 “농수산물을 지역자원으로써 개발하기 위해서는 지역자원에 대한 지역주민의 경험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경험 또한 디자인하는 접근방식이 필요하다”면서 관련 사례들을 소개했다.
▲ |
[저작권자ⓒ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