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티씨뉴스=왕보현 기자]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서 주인공이 가장 좋아하는 고래인 '향고래' 100마리 이상이 우리나라 동해 바다에 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 |
▲ 동해에서 발견된 향고래 (사진=국립수산과학원 제공) |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우동식)은 지난 ‘23년 수행한 우리 바다 고래에 관한 연구를 통해, 국제적 멸종위기종인 참고래 50여 마리, 향고래 100여 마리 이상 우리 동해 바다에 다수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 향고래 울산 반구대 암각화에는 '향고래'가 그려져 있다. 조선시대에는 울산 앞바다를 '경해(鯨海 고래바다)'라 할 정도로 우리 동해에 고래가 많이 살고 있었다. 하지만 이렇게 많았던 고래는 조선 후기 무렵부터 서구 열강과 일제의 포획 등으로 거의 씨가 말랐다. 남획으로 향고래는 개체 수가 급감해 1937년 이후로는 더 이상 잡히지 않게 되었고, 참고래의 경우 1980년이 마지막 포획으로 기록되었다.(사진=국립수산과학원 제공) |
참고래는 지구상에서 대왕고래 다음으로 큰 포유류로, 몸길이 약 23m에 이르며 과도한 포경으로 개체수가 급감했다. 우리 동해에서는 1980년에 마지막으로 포획되었다.
향고래는 이빨고래류 중 가장 큰 종으로, 몸길이 약 19m에 이르며 과도한 포경으로 개체수가 급감했다. 국내에서는 1937년에 마지막으로 포획되었다.
▲ 동해에서 발견된 참돌고래떼 (사진=국립수산과학원 제공) |
▲ 동해에서 발견된 참돌고래 (사진=:국립수산과학원 제공) |
![]() |
▲ 국립수산과학원의 소속 고래연구원이 항공조사를 실시하고 있다.(사진=국립수산과학원 제공) |
올해부터 우리 바다의 고래 분포 현황을 보다 명확히 확인하기 위해 선박 조사 횟수를 확대하고, 동해에서는 처음으로 항공조사를 도입할 계획이다. 또한, 동해 소형고래류의 생태를 집중 관찰하기 위해 동해 연안 조사도 새롭게 시작할 예정이다.
▲ 동해에서 발견한 물개(사진=국립수산과학원 제공) |
아울러, 점박이물범 등 기각류(수중 생활에 맞게 지느러미 모양의 다리와 발을 가진 해양포유류. 물범, 물개, 바다코끼리 등)에 대한 조사를 기존 연 2회에서 4회로 강화하여 서식 현황을 확인하고, 동해 물개 조사도 새롭게 시작한다.
![]() |
▲ 2000~2022 동해 조사시 발견된 고래 종류 및 위치(그래픽-국립수산과학원 제공) |
[저작권자ⓒ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