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티씨뉴스 예천=글·사진 왕보현 기자]
![]() |
▲ 금당실 마을에 가을이 익어가고 있다. |
금당실 마을에 가을이 익어가고 있다. 따스한 추양에 장독대 위 호박들이 바짝 마르며 호박고지로 익어가고, 촌부는 참깨 수확에 가을볕이 짧다.
![]() |
감나무에 단감이 익어가고 처마 밑에선 가을 햇살 속 곳감이 달콤함을 더해간다. 처마 밑 한견에서 가을 햇살을 받는 종자로 쓸 옥수수와 고추가 풍요롭다.
황금벌판 한 가운데 자리한 부부 소나무 한 쌍 뒤로 흐르는 뭉게구름은 가을이 깊어가고 있다고 이야기 한다.
![]() |
경상북도 예천군에서 북서쪽 5.6 km 금당실은 산지가 잘 발달되어 있고, 마을 옆으로는 금곡천이 흐르고 비옥한 농경지가 잘 형성되어 있어 예로부터 마을을 형성하기 알맞은 지역이라고 알려졌다.
![]() |
▲ 금당실 마을은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야트막한 산은 아기가 자라고 있는 엄마의 둥근 배를 연상케 한다. 포근하고 안전하다[티티씨뉴스=왕보현 기자] |
![]() |
금당실마을은 '물에 떠있는 연꽃'을 닮았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기도 하다. 마을산인 오미봉 정상으로 드론을 띄어 내려다보면 북쪽의 매봉, 서쪽의 국사봉, 동쪽의 옥녀봉, 남쪽의 백마산으로 둘러싸인 마을의 풍광에 감탄이 나온다. 조선 명종 때의 풍수지리학자 남사고(南師古:1509~1571)는 정감록(鄭鑑錄)에서 금당실을 십승지지 가운데 한 곳으로 꼽으며 '금당과 맛질을 합하면 서울과 흡사하나 큰 냇물이 없어 아쉽다'고 했다. ‘병화가 들지 못 한다'는 지형 때문인지 임진왜란 때도 피해를 보지 않았다. 힐링하기 좋은 반서울 십승지의 땅 용문은 용이 뛰어노는 여유로운 마을로서 풍류와 멋을 마음껏 느낄 수 있다.
![]() |
▲ 금당실마을에는 6.9km에 달하는 돌담길이 남아있어 천천히 걸으며 마을 탐방을 하는 일만으로 마음을 푸근하게 하는 힐링을 즐길 수 있다. |
![]() |
![]() |
![]() |
![]() |
![]() |
![]() |
[저작권자ⓒ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