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지 태양광 전체의 0.1%에 해당
- 12곳 중 9곳은 문재인 정부 이전에 허가
[티티씨뉴스=왕보현 기자]
박종호 산림청장은 13일 산지 태양광 시설의 피해는 총 12건으로 전국 산지 태양광 허가 건수 12,721건의 0.1%에 해당하며, 전체 산사태 발생 건수 1,548건 대비 0.8% 수준이라고 밝혔다.
 |
▲ 경북 상주시 청리면 산지 태양광발전시설 현장 |
박 청장은 이날 정부대전청사 기자실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다.
박청장은 “산지 태양광 시설 산사태와 관련한 인명피해는 없으며, 건당 평균 피해 면적은 0.1ha로, 일반 산사태 대비 1/4 정도이다. 따라서 이러한 통계상의 수치로 볼 때 금년의 산사태는 산지 태양광시설과는 깊은 관련성이 없다”고 강조했다.
 |
▲ 박종호 산림청장은 정치권에서 쟁점화되고 있는 '산지 태양광이 산사태 야기'와 관련,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하며 최근 산사태가 산지 태양광시설과는 깊은 관련성이 없다고 강조했다. |
이어서 “산림청은 산지 태양광 발전시설로 인한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2018년 12월 산지관리법 시행령을 개정하는 등 다각적인 제도개선을 추진해왔다.”며, “임업용산지와 공익용산지 등 보전산지에는 산지 태양광 설치를 금지하였으며, 기존 산지전용허가 대상에서 산지일시사용허가 대상으로 전환하여 태양광 발전 후 산지가 다른 지목으로 변경됨을 원천 차단”했다고 말했다.
 |
▲ 박종호 산림청장은 13일 산지 태양광 시설의 피해는 총 12건으로 전국 산지 태양광 허가 건수 12,721건의 0.1%에 해당하며, 전체 산사태 발생 건수 1,548건 대비 0.8% 수준이라고 밝혔다. |
산림청은 산지의 합리적 보전을 위해 경사도 허가기준도 기존 25°에서 15°로 강화하였고, 대체산림자원조성에 필요한 비용도 납부토록 했다. 그 결과 2019년부터 산지 태양광 허가 건수가 급속도로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연간 허가건수가 가장 많았던 2018년은 총 5,553건 이었으나, 올해는 6월까지 허가건수가 202건으로 1/10 수준으로 급감했다.
연도별 허가현황을 보면 ’16년 917건, ’17년 2,384건, ’18년 5,553건으로 증가 되다가 ’19년 2,129건에서 올해는 6월말 현재 202건 으로 급속도로 감소하고 있다.


한편 박 청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산사태 발생 태양광의 허가 시점을 묻는 질문에 "집중호우로 산사태가 발생한 산지 태양광 발전시설 12곳 중 9곳이 문재인 정부 출범 전에 허가를 받았다"고 답했다. 박 청장은 "이밖에 3건은 현 정부에서 허가를 받았다. 산사태가 발생한 산지 태양광 시설 12곳 모두 시공기준 강화 전 건설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특히 "전체 태양광 시설 면적 중 83.6%가 시공기준 강화 전 건설돼 기존 태양광 시설에 대한 보강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 정치권에서 쟁점화되고 있는 '산지 태양광이 산사태 야기'와 관련해서는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하며 최근 산사태가 산지 태양광시설과는 깊은 관련성이 없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