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 관련 데이터를 활용한 신규 서비스 등 아이디어 경연
- ‘증발산량, 퇴적량 예측을 통한 저수가능용량 예측 프로그램 개발’ 대상차지
- ‘수압데이터를 활용한 지방상수도 누수 위치 탐지모델 구축’ 사내부문 대상
[티티씨뉴스=왕보현 기자]
한국수자원공사는 15일 대전시 대덕구 본사에서 물 관련 빅데이터와 4차산업 기술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대국민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2022년 K-water ·대국민 빅데이터 콘테스트’를 개최했다.
 |
▲ 한국수자원공사는 15일 대전시 대덕구 본사에서 물 관련 빅데이터와 4차산업 기술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대국민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2022년 K-water ·대국민 빅데이터 콘테스트’를 개최했다.(사진=한국수자원공사 제공) |
‘빅데이터 콘테스트’는 2017년 데이터 분석 기술의 확산과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문화의 정착을 위해 출범한 후 현재까지 129개의 활용 사례를 발굴했다. 물 관련 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민이 직접 과제를 추진하는 ‘대국민 과제’도 139건이나 추진되었다.
이번 대회는 물 데이터와 빅데이터·AI 기술 융합을 통한 인사이트 창출을 주제로 하여, ‘대국민 전형’과 ‘사내 전형’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지난 4월부터 진행된 공모에 참여한 총 143명 61개 팀 중 사전 심사를 거쳐 선발된 8개 팀이 아이디어를 발표했다.
이들 8개 출전팀은 심사위원단의 평가와 한국수자원공사 전 직원의 설문 조사를 통한 투표결과 등을 합산하여 대상 2팀과 최우수상 2팀, 우수상 4팀으로 최종 순위가 결정되었다.
심사위원단의 최종 평가결과에 따라 대국민 전형은 한양대학교의 ‘증발산량, 퇴적량 예측을 통한 저수가능용량 예측 프로그램 개발’, 사내 전형은 정읍권지사의 ‘수압데이터를 활용한 지방상수도 누수 위치 탐지모델 구축’이 각 전형별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증발산량, 퇴적량 예측을 통한 저수가능용량 예측 프로그램’은 댐 저수지의 증발산량과 저수지 바닥의 퇴적수준을 예측하여 저수지의 용수공급가능량을 파악하는 기술로, 용담댐을 시범대상지로 검토하였다. 강우량과 수문 정보를 이용하여 토사퇴적량과 증발산량을 산정하였으며, 적기 준설을 시행하여 안정적인 댐 용수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과제의 목적이 있다.
또한, ‘수압데이터를 활용한 지방상수도 누수 위치 탐지모델 구축’은 수도관의 압력데이터를 활용하여 물이 새는 곳을 빠르게 찾을 수 있는 기술로, 촘촘하게 설치된 수압계측기의 데이터 간 상관성을 분석하는 기술이다. 누수에 신속하게 대응함으로써, 국민은 맑은 물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고 수도사업자는 시설물 유지보수와 관리에 투입되는 예산을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류형주 한국수자원공사 경영부문이사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빅데이터 분석과 활용 역량은 기업 경쟁력의 핵심이자 혁신의 원동력”이라며, “앞으로도 빅데이터 분석 역량이 더 심화되고 의미 있는 성과로 연결되어, 대국민 서비스로 실현될 수 있도록 지속해서 방안을 고민하고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