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티씨뉴스=왕보현 기자]
탄소중립, 한국판 뉴딜정책의 적극적인 이행과 디지털 물산업 육성을 위해 각 기관의 전문 인력과 경험을 통해 체계적인 지원을 구축하게 되었다.
![]() |
▲ 26일 대전시청에서 탄소중립, 한국판 뉴딜정책의 적극적인 이행과 ‘디지털 물산업 혁신성장을 위한 상호협력 협약'을 체결한 후 박재현 수자원공사 사장 , 이광형 카이스트 총장, 한정애 환경부장관, 허태정 대전시장, 이진숙 충남대 총장, 강병삼 연구개발특구 이사장(왼쪽부터)이 기념촬영하고 있다.(사진=대전시 제공) |
수자원공사는 환경부, 대전광역시, 충남대학교, 카이스트,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과 함께 26일 대전시청에서 ‘디지털 물산업 혁신성장을 위한 상호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환경부 등 6개 기관은 이번 협약을 적극 이행하기 위해 실무협의회를 구성하고, 디지털 물산업 혁신성장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협력사업을 추진한다.
아울러 지역 우수 중소·벤처기업을 발굴하고 혁신성장을 위한 정책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여기에 한국판 뉴딜 관련 물기업 투자를 위한 벤처펀드 조성 등도 협력할 계획이다.
한편,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지난 20여 년간 운영 중단되었던 대전 유성구 송강동 소재 옛 대덕정수장을 개선하여 시민이 즐길 수 있는 개방형 공간과 물산업 디지털 혁신창업 공간으로 조성하기로 하고 수도시설로서의 역사적 가치를 부여한 지역의 명소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옛 대덕정수장 시설 중 탈수기동과 송수펌프동 등은 북카페, 전시공간, 회의실 및 산책로 등 주민참여형 다기능 공간으로 조성하여 2022년 상반기부터 시민에게 개방하게 된다.
![]() |
▲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지난 20여 년간 운영 중단되어 방치되었던 대전 유성구 송강동 소재옛 대덕정수장을 개선하여 시민이 즐길 수 있는 개방형 공간과 물산업 디지털 혁신창업 공간으로 조성하기로 하고 수도시설로서의 역사적 가치를 부여한 지역의 명소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그림은 옛 대덕정수장(위)에 아래 조감도와 같이 전시공간, 북카페, 회의실 및 산책로 등 주민참여형 다기능 공간으로 조성하여 2022년 상반기부터 시민에게 개방하게 된다.(그림=한국수자원공사 제공) |
허태정 대전시장은 “이번 협약으로 대전이 물산업 허브 역할을 담당하는 메카로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며, “대전 디지털 물산업 클러스터를 글로벌 디지털 물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해, 국가 디지털 물산업 발전의 초석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