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티씨뉴스=왕보현 기자]
환경부는 일상화된 기후위기로부터 국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물관리정책실 내에 8월 16일부터 ‘물위기대응 전담조직(TF)’을 설치하고, 기존 도시침수대응기획단에 전문 인력을 보강한 ‘디지털홍수예보추진단’을 8월 31일에 발족한다고 밝혔다.
![]() |
▲ 환경부는 일상화된 기후위기로부터 국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물관리정책실 내에 8월 16일부터 ‘물위기대응 전담조직(TF)’을 설치하고, 기존 도시침수대응기획단에 전문 인력을 보강한 ‘디지털홍수예보추진단’을 8월 31일에 발족한다 |
이번 전담조직 발족은 일상화된 기후위기로부터 치수‧이수 안전 강화를 위해 물위기 대책 수립‧이행 등을 위한 전담기구의 설립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됨에 따라 마련됐다.
지난해 8월 서울 도심침수와 그해 9월 포항 냉천 범람 등 홍수 피해가 일어났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올해 5월까지 광주‧전남 지역에서는 50년만에 최악의 가뭄이 발생하기도 했다. 올해 7월에는 중부지방에서 극한 강우가 발생하는 등 그간 경험해보지 못한 기후위기에 따른 물재난들이 연중 지속되고 있다.
‘물위기대응 전담조직(TF)’은 당장 발생하고 있는 물재난 대응뿐만 아니라, 미래의 더 큰 극한홍수와 가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등 근원적인 물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총괄한다.
「물위기대응 TF」구성 및 업무분장
| | | | 물관리정책실장 | | | | | |
| | | | | | | | | |
| | | | 물통합정책관 | | | | | |
| | | | | | | | | |
물정책총괄과 | |||||||||
| | ||||||||
| | | | 물위기대응 TF (팀장 : 4.5급) | | | | | |
| | | | | | | | | |
| | | | | | | | | |
| 치수대책계 | | 물공급전략계 | | 첨단산업용수계 | | |||
·치수쇄신대책 수립‧이행 | ·4대강 유역별 중장기 물공급 계획 수립‧이행 | ·첨단 산업단지 용수공급계획 수립‧이행 |
환경부는 ‘물위기대응 전담조직(TF)’를 통해 치수정책의 획기적인 전환과 함께, 미래의 극한가뭄과 국가첨단산업단지 조성 등 공업용수의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항구적인 물 공급방안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디지털홍수예보추진단’은 인공지능(AI), 디지털트윈(DT) 등 첨단홍수예보 관련 기능을 보강한 홍수예보를 전국적으로 속도감 있게 추진한다.
「디지털 홍수예보 추진단」구성 및 업무분장
| | 단 장 (수자원정책관 겸임) | | | |||
| | | | | | ||
| | 부단장(4급) | | | |||
| | | | | | ||
| | | | | | | |
제도기획팀 | | 디지털홍수예보팀 | | DT구축팀 | |||
도시침수법 하위법령 제정 및 도시침수예보 구축·운영 | | 스마트홍수예보 인프라구축 및 전국확대 운영 | | 댐-하천 디지털트윈 물관리 플랫폼 구축·운영 |
‘디지털홍수예보추진단’은 올해 말까지 인공지능(AI) 홍수예보 플랫폼을 구축하고 내년 홍수기(6월 21일~9월 20일)에는 전국 223개 지점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 기반으로 홍수예보를 본격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기존에 하천수위만 제공하는 홍수예보를 고도화하여 하천 및 하수도 수위를 예측하고 침수 예상 범위와 깊이도 함께 제공하도록 도시침수예보 체계로 개선도 병행한다. 아울러, 당초 2025년에 구축 예정인 전국 댐-하천 디지털트윈(DT)도 내년까지 조기에 구축할 계획이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일상화된 기후위기로부터 국민안전을 지키는 데에는 과도한 대응은 없다”라며, “물위기대응 전담조직과 디지털홍수예보추진단을 적극 활용하여, 물재난을 대응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