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폐기물 소각, 온실가스 1,200만 톤 감축

왕보현 기자 / 기사승인 : 2022-01-10 15:00:42
  • -
  • +
  • 인쇄
- 소각열에너지 생산 ‘탄소중립 실현’기여
- 폐기물 2,000만 톤 안정적 처리
- 원유 39.2억L 수입 대체, 1조 9천억원 비용 절감

[티티씨뉴스=왕보현 기자]

산업폐기물 소각전문시설들이 지난 10년간 1,212만 톤의 국가온실가스를 감축해 탄소중립 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내 민간 소각전문시설에서 지난 10년간 안정적으로 2,022만 톤에 달하는 폐기물을 처리했고, 이들 폐기물에서 4,571만Gcal의 소각열에너지도 생산하여 1,212만 톤에 이르는 온실가스도 감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울산 국가산업단지에 위치한 국내 최대 산업폐기물 소각전문시설 ㈜코엔텍 (사진=한국자원순환에너지공제조합)

산업폐기물 소각전문시설을 대표하는 한국자원순환에너지공제조합이 10일 발표한 ‘민간 소각전문시설 소각열에너지 생산·이용 실태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민간 소각전문시설에서 지난 10년간 안정적으로 처리한 폐기물량은 2,022만 톤에 달한다. 그리고 이들 폐기물 소각 과정에서 4,571만Gcal의 소각열에너지가 생산되어 1,212만 톤에 이르는 온실가스도 감축했다고 밝혔다.

 

 공제조합이 매년 발표하는 ‘민간 소각전문시설소각열에너지 생산·이용 실태 조사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11년부터 20년까지 지난 10년간 소각 처리량은 161만 톤에서 236만 톤으로 46% 증가했고, 소각열에너지 생산량은 326만 Gcal에서 583만 Gcal으로 79% 성장했다.

 

특히, 원유 대체량은 11년도 2.4억 리터에서 20년 5.7억 리터로 135% 증가했고, 온실가스 감축량은 11년도 76만 톤에서 20년 179만 톤으로 동일하게 135% 증가했다. 10년간 온실가스 감축량을 합산하면 1,212만 톤에 달해 국내 산업폐기물 소각전문시설이 국가온실가스를 감축시키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공제조합측은 실제 국가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한 량은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예측했다. 그 이유는 ‘18년 국립환경과학원 조사에서 보듯 소각장에 반입되는 불연물의 비율이 26.7%에 달해 발생하지도 않은 온실가스가 발생량으로 계산되고 있어 온실가스 감축제도가 시행된 지난 10년간 불합리하게 발생된 온실가스 배출량만 1,263만 톤에 달하기 때문이다.

 

국내 산업폐기물 소각전문시설에서는 폐기물과 함께 타지 않는 불연물이 혼합되어 반입되고 있는데, 이를 사전에 분리하지 못하게 하고 있어 소각로에 그대로 투입되고 있다. 산업폐기물 소각전문시설의 온실가스 발생량은 반입된 폐기물 양을 기준으로 계산되는데 이로 인해서 타지도 않는 돌과 흙, 철 등이 고스란히 온실가스 배출량으로 계산되고 있다.

공제조합에 따르면 불연물에서 불합리하게 발생한 1,263만 톤의 온실가스와 소각열에너지 생산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량인 1,212만 톤을 합산하면 지난 10년간 전체 온실가스 감축량은 2,475만 톤에 달할 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가연성폐기물만을 소각할 수 있도록 ‘불연물 사전분리 제도’ 도입이 시급하다.



온실가스 감축으로 탄소중립에 기여하고 있는 산업폐기물 소각전문시설은 폐기물 소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각열에너지’를 생산해 스팀, 온수, 전기 등의 다양한 에너지 형태로 지역난방공사, 열병합발전소, 석유화학공장 등에 공급하고 있다.

기업에서 산업폐기물 소각전문시설에서 생산하는 스팀을 구매하면 자체적으로 스팀을 생산할 때 들어가는 화석연료를 대체해 그 만큼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줄이기 때문에 원유 수입 대체와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있으며, 자체적으로 스팀 생산할 때 들어가는 설비 투자 및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 한국자원순환에너지공제조합 이민석 이사장은 “아쉽게도 아직 소각열에너지에 대한 정부의 제도적인 뒷받침과 지원 정책이 전무한 실정이기 때문에 ‘자원순환기본법’, ‘폐기물관리법’ 등 관련법에 ‘실체화된 에너지’로 법제화해야 한다”면서, “폐기물 배출처에서 불가피하게 혼합되어 반입되는 불연물을 법적으로 분리 재위탁 처리할 수 있는 ‘불연물 사전분리 제도’를 도입해 발생하지도 않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바로잡고, 소각전문시설의 안정적 운영과 탄소중립에 필수인 소각열에너지 생산량 증가가 가능하도록 조속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공제조합은 “산업폐기물 소각전문시설은 대기오염방지시설을 통해 다이옥신,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미세먼지 등을 최대한 제거하고, 굴뚝자동측정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대기오염물질을 관리하고 있어 폐기물의 안정적인 처리와 더불어 소각열에너지 생산에 최적화된 이상적인 자원회수시설”이라고 강조한다.

한국자원순환에너지공제조합 이민석 이사장은 “조합에서는 산업폐기물 소각전문시설을 대상으로 2008년부터 소각열에너지 생산‧이용 실태를 매년 발표해 소각열에너지의 사회‧경제‧환경적 우수성을 입증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결과를 얻고 있다”며 “소각열에너지는 수입에 의존하는 다른 열원과 달리 기업들이 연료 구입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도 매우 유익한 에너지”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정책

+

경제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