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생식물 영어이름, ‘재패니즈 떼고 코리안 붙이다.’

왕보현 기자 / 기사승인 : 2022-02-28 11:50:51
  • -
  • +
  • 인쇄
- 국립수목원,『한반도 자생식물 영어이름 목록집(개정판)』발간

[티티씨뉴스=왕보현 기자]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우리 식물의 정체성 및 생물주권을 확립하고 그 가치를 세계에 알리기 위해 『한반도 자생식물 영어이름 목록집 (개정판)』을 발간하였다고 밝혔다.  

 

▲ 한반도 자생식물 영어이름 목록집 (개정판)의 표지

 

국립수목원은 지난 2015년 광복 70주년을 맞아 ‘우리식물 주권찾기’ 운동의 일환으로 한국식물분류학회와 함께 ‘한반도 자생식물 영어이름 목록집’을 발간했다.

이번 개정판은 기존 “한반도 자생식물 영어이름 목록집”에서 영어 이름의 변경이 필요한 20종과 백두다람쥐꼬리, 섬진달래 등 새롭게 자생이 확인된 450종이 추가되었고, 국가수목유전자원목록심의회 검토를 통해 총 3,915분류군에 대한 우리 자생식물의 영어이름을 확정하였다.
 

자생생물 영어이름 변경 목록(20종)

학명(국명)

영어이름(기존)

 

영어이름(변경)

Isoetes japonica A.Braun (물부추)

Japanese quillwort

East Asian quillwort

Dryopteris polylepis (Franch. & Sav.) C.Chr.

(산비늘고사리)

Japanese shield fern

East Asian shield fern

Castanopsis cuspidata (Thunb.) Schottky

(모밀잣밤나무)

Japanese chinquapin

East Asian chinquapin

Cinnamomum yabunikkei H.Ohba (생달나무)

Japanese camphor tree

Hardy camphor tree

Cleyera japonica Thunb. (비쭈기나무)

Japanese cleyera

Bird claw cleyera

Gleditsia japonica Miq. (주엽나무)

Japanese honey locust

East Asian honey locust

Gleditsia japonica Miq. f. inarmata Nakai

(민주엽나무)

Spineless Japanese honey locust

Spineless East Asian honey locust

Kummerowia striata (Thunb.) Schindl.

(매듭풀)

Japanese clover

Knot clover

Wisteria floribunda (Willd.) DC. f. alba Rehder & E.H.Wilson (흰등)

White Japanese wisteria

White common wisteria

Triumfetta japonica Makino (고슴도치풀)

Japanese burbark

Hook burbark

Viola japonica Langsd. ex DC. (왜제비꽃)

Japanese violet

Stripes violet

Angelica japonica A.Gray (갯강활)

Japanese angelica

Coastal angelica

Cynanchum japonicum (C.Morren & Decne.) Hemsl. (덩굴민백미꽃)

Japanese swallow-wort

Coastal rocky swallow-wort

Lasianthus japonicus Miq. (무주나무)

Japanese lasianthus

East Asian lasianthus

Cuscuta japonica Choisy (새삼)

Japanese dodder

Asian large dodder

Cirsium japonicum Fisch. ex DC. (개엉겅퀴)

Japanese thistle

East Asian thistle

Cirsium japonicum var. spinossimum Kitam. (가시엉겅퀴)

Spined Japanese thistle

Spined Korean thistle

Cirsium japonicum f. nakaianum (H.Lév. & Vaniot) W.T.Lee (좁은잎엉겅퀴)

Narrow-leaf Japanese thistle

Narrow-leaf Korean thistle

Miscanthus oligostachyus Stapf (억새아재비)

Small Japanese silvergrass

Small East Asian silvergrass

Myrmechis japonica (Rchb.f.) Rolfe (개미난초)

Japanese myrmechis

East Asian myrmechis

 자생식물의 영어 이름은 ▲ 한반도가 식물분포의 중심지임에도 다른 국가명이 들어간 식물, ▲ 분포범위가 넓음에도 특정 국가명만 들어간 식물 등의 경우 다른 이름으로 수정하거나 새로운 이름을 검토하였으며 ▲ 우리 문화,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식물, ▲한반도에만 분포하는 특산식물 등의 경우 한글 발음을 명사화하여 우리말 이름 그대로 영어로 옮겨 제안하였다.

 

신규 제안 추천영명(예시)

학명(국명)

신규 영어이름

비고

Huperzia asiatica (Ching) N.Shrestha & X.C.Zhang

(백두다람쥐꼬리)

Baekdu clubmoss

백두산에 자라는 뱀톱속 식물

Alnus incana subsp. tchangbokii Chin S.Chang & H.Kim (수우물오리)

Tchangbok's alder

이창복 교수의 이름 인용 (한국특산식물)

Dioscorea coreana (Prain & Burkill) R.Knuth

(푸른마)

Korean mountain yam

한국 특산식물

 새롭게 제안된 영어이름은 우리나라 대표 식물목록인 ‘국가표준식물목록(자생식물)’과 연계되며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www.nature.go.kr)을 통해 누구나 쉽게 검색 가능토록 하였다. 또한, 우리 식물의 영어이름의 국제적 확산을 위해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GBIF), 해외 공관 등에도 관련 자료를 제공할 예정이다.

 

  본 개정판은 전자책(pdf 파일)으로 제작되었으며, 국립수목원 홈페이지(메뉴→연구→연구간행물)에서 누구나 내려받아 사용할 수 있다.

 

  최영태 국립수목원장은 “이번 영어 이름 목록집 발간을 통해 오랫동안 일본 혹은 다른 나라의 식물로만 인식되었던 우리 식물의 제대로 된 이름을 찾아주고, 이름이 없었던 식물들은 새로운 영어 이름 부여함으로써 전 세계에 우리 자생식물을 알리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현주 산림청 산림환경보호과장은 “자생식물의 주권 확보가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에서 이번 계기를 발판으로 산림청과 국립수목원에서 더 활발하고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도록 함께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정책

+

경제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