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물학술단체연합회, “공유하천 공동관리를 통한 남북협력방안 세미나
- 임진강·북한강 ‘이·치수, 수질 및 수생태 문제’ 논의
- 공유하천 공동관리 통해 통일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티티씨뉴스=왕보현 기자]
북한강과 임진강 등“공유하천 공동관리를 통해 남북간 화해·협력과 소통의 장을 만들자”는 주장이 수자원 학계에서 제기 되었다.
▲ 한국물학술단체연합회(회장 민경석)는 11일 영등포구 여의도동 글래드호텔에서 임종성 더불어민주당 의원(환경노동위원회, 경기 광주을)태영호 국민의힘 국회의원 (외교통일위원회, 강남구 갑)과 국회입법조사처와 함께「공유하천 공동관리를 통한 남북협력방안 세미나」에 참석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11일 여의도 글래드호텔에서 열린 ‘공유하천 공동관리를 통한 남북협력방안 세미나’에서 한국물학술단체연합회 장석환 교수는 “유역내 근본적인 홍수예방과 물이용은 남북협력 만으로도 가능한 문제이다.”라며, “공유하천 흘러야 통일이 가까워진다.”고 주장했다.
공유하천은 2개국 이상의 국가 사이에서 경계를 이루거나 이들 국가의 영토를 연속적으로 흐르는 하천을 말한다. 최근에는 국가간 물 분쟁 조정, 환경오염 규제의 필요성 때문에 유역 전체를 모두 포괄적으로 인식한다.
전 세계 공유하천 유역에는 인구의 40%가 거주하고 있으며, 지구 표면적의 약 47%를 차지하고, 전체 담수 유량의 60%에 이른다.
▲ 한국물학술단체연합회(회장 민경석)가 11일 영등포구 여의도동 글래드호텔에서 개최한「공유하천 공동관리를 통한 남북협력방안 세미나」에서 장석환 대진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사진)이 공유하천을 통한 남북 상생 협력 방안을 발제하고 있다. 장 교수는 “유역내 근본적인 홍수예방과 물이용은 남북협력 만으로도 가능한 문제이다.”라며, “공유하천 흘러야 통일이 가까워진다.”라고 말했다.
장 교수는 “평양은 하루 25만㎥의 상수도 공급 부족하고, UNEP발표에 의하면 북한 전체 하수처리율 19%에 불과하다. 정수 처리된 물을 마시는 인구 비율도 16.5%에 그치므로 위생시설인 상수도와 하수도시설 지원은 UN안보리 대북 제재 국면에서 인도적 지원에 해당한다”라며, “북측으로부터 공유하천 물 부족분을 제공 받는 대신, 편익에 상당하는 신재생 에너지 시설, ‘물-에너지-식량(Water-Energy-Food : WEF) 교역’과 상하수도 시설을 제공하는 물 교역(water trade)도 가능하다”고 제안했다.
▲ 한국물학술단체연합회(회장 민경석)는 11일 영등포구 여의도동 글래드호텔에서 「공유하천 공동관리를 통한 남북협력방안 세미나」를 진행했다. 장석환 교수의 발제에 이어 김형석 전 통일부 차관(왼쪽에서 네번째)이 좌장을 맡아 김동진 환경부 수자원정책국 국장, 김광길 통일부 교류협력국 국장, 이한구 수자원공사 부사장, 이효용 KBS 기자, 김주환 YTN 부국장, 최재필 국민일보 기자가 열띤 토론을 펼쳤다.
이어서, “북한강과 임진강의 홍수 문제는 남북협력으로만 해결 가능하다”라며, “공유하천 공동관리를 통해 남북간 화해와 협력의 시금석이 될 수 있다. 공유하천 흘러야 통일이 가까워진다”고 발제했다.
이어서, 김형석 전 통일부 차관이 좌장을 맡아 김동진 환경부 수자원정책국 국장, 김광길 통일부 교류협력국 국장, 이한구 수자원공사 부사장, 이효용 KBS 기자, 김주환 YTN 부국장, 최재필 국민일보 기자가 지정토론을 펼쳤다.
▲ 군남홍수조절댐(티티씨뉴스 자료사진)
민경석 한국물학술단체연합회장은 “국제 공유하천을 둘러싼 물이용과 관련된 분쟁은 과거부터 지속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 중 하나”라며, “공유하천의 공동 관리는 서로의 편익 제공으로 이어져 남·북한간의 정치적 긴장 완화와 교류·협력의 활성화를 통한 신뢰 향상으로 또 다른 수자원 사업 창출의 기회가 될 것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