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 발전용댐 운영기준 마련
- 화천댐, 팔당댐, 홍수조절과 용수공급 시범 운영
- 전국 7개 발전용댐, 홍수와 가뭄 대응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 마련
[티티씨뉴스=왕보현 기자]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통합 물관리가 속도를 낸다. 화천댐, 팔당댐 등 발전용댐을 대상으로 용수공급과 홍수조절을 위한 운영 원칙과 절차가 마련되었다.
 |
▲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통합 물관리가 속도를 낸다. 화천댐, 팔당댐 등 전국 7개 발전용댐을 대상으로 용수공급과 홍수조절을 위한 운영 원칙과 절차가 마련되었다. 사진은 2020년 홍수기에 수문방류를 시행하는 팔당댐(티티씨뉴스 자료사진) |
환경부는 ‘댐.보 등의 연계운영 중앙협의회’를 3월 16일부터 30일까지 열고, ‘발전용댐 다목적 활용을 위한 시범운영 기준’을 확정했다.
중앙협의회에는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농림축산식품부 등 중앙부처와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농어촌공사 등 물관리 공공기관과 민간전문가가 참여한다
이번 시범운영 기준은 환경부 한강홍수통제소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기관인 한국수력원자력㈜ 간의 협업으로 마련되었으며, 화천댐과 팔당댐의 용수공급과 홍수조절에 대한 운영원칙 및 기준, 절차 등을 담고 있다.
특히 이번 시범운영 기준은 지난해 4월 환경부와 한국수력원자력 간 ‘한강수계 발전용댐 다목적 활용 협약’에 따라 용수공급.홍수조절 등에 대한 세부 기준이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시범운영 기준은 그동안 전력 생산만을 위해 운영했던 발전용댐의 저수된 물을 발전뿐만 아니라, 가뭄이나 홍수 발생 시 다목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강수계 화천댐과 팔당댐을 대상으로 연중 안정적인 용수공급이 가능하도록 화천댐은 초당 22.2㎥, 팔당댐은 초당 124㎥ 이상을 상시 공급하도록 했다.
매년 6월 21일~9월 20일 홍수기에는 홍수기 제한수위 준수 및 홍수조절용량을 확보하고, 수문방류 승인을 통한 홍수조절을 시행토록 했다.
특히, 화천댐의 경우 작년 홍수기 동안 소양강댐, 충주댐 등 다목적댐과 연계 운영으로 홍수조절용량 2억 ㎥을 확보하여 홍수 피해를 줄였다.
환경부와 한국수력원자력㈜은 전국 발전용댐(7개) 운영 규정을 이번 시범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말까지 수립할 계획이다.
 |
▲ 발전용댐 현황 |
전국 발전용댐 운영규정이 수립되면, 발전용댐이 다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게 되어 수도권 지역에 대한 용수공급 및 홍수조절도 보다 안정적으로 운영될 전망이다.
김동진 환경부 수자원정책국장은 “물관리 일원화로 통합물관리 기반은 마련되었으나 발전용댐, 농업용 저수지 등은 관리주체별로 운영되고 있어서 가뭄 및 홍수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라며, “발전용댐의 다목적 활용을 위한 시범운영은 물관리기관 간 협력체계를 통한 본격적인 통합물관리체제 구축의 모범사례로 앞으로 기후위기에 따른 물관리에 통합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초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