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티씨뉴스=왕보현 기자]
환경부는 여름철 상수원에 녹조가 발생해도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는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 |
▲ 환경부는 정수장 사전 관리로 여름철 상수원 녹조에도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할 수 있는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진은 낙동강 수상녹조제거콤바인 작업현장(티티씨뉴스 자료사진) |
환경부가 지난 23일 기준으로 녹조 발생상황을 분석한 결과, 전국 29개의 조류경보제 지점 중 경북 구미시 해평, 경남 함안군 칠서면 등 2개 지점에서 ‘관심’ 단계 경보가 발령 중이다. 또, 경북 강정고령과 낙동강 하류인 물금매리 등 2개 지점에서 ‘경계’ 단계 경보가 발령 중이다.
현재 이들 지점의 녹조는 지난주 26℃ 이상의 높은 수온과 예년 대비 54% 수준에 불과한 강우로 인한 전국적인 가뭄으로 남조류가 증식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환경부는 녹조 발생을 대비해 사전 준비태세를 확립하고 유관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강화하여 신속한 대응을 추진하는 한편 일선 정수장의 녹조 대응 역량을 높여 국민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할 계획이다.
우선, 녹조 발생에 대비해 지난 4월 말부터 한 달간 유역(지방)환경청, 한국수자원공사의 유역수도지원센터와 지자체가 공동으로 정수장 102곳을 선별해 녹조 대응 준비실태를 점검했다.
이들은 녹조 대응 시설의 정상 작동상태, 분말활성탄 등 정수 처리약품 비축 현황, 비상대응체계 구축여부 등을 집중적으로 살펴봤다.
점검 결과, 조류차단막 설치, 선택 취수 등 취수장에서 조류 유입 최소화 조치를 이행하고 있었다. 또, 중염소 설비와 고도 설비 등 녹조 대응시설의 적정 유지·관리와 분말활성탄 10일 사용량 이상 확보, 조류 관련 물질 관측 실시, 유관기간 협조체계 구축 및 비상대응반 구성 등 전반적으로 녹조 대비 준비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
▲ 환경부는 녹조 발생을 대비해 사전 준비태세를 확립하고 유관기관 간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강화하여 신속한 대응을 추진하는 한편 일선 정수장의 녹조 대응 역량을 높여 국민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할 계획이다. 사진은 한국수자원공사가 취수원에서 녹조 관리 AI에코봇을 시범 운용하고 있는 장면(티티씨뉴스 자료사진) |
[저작권자ⓒ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