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티씨뉴스=왕보현 기자]
사단법인 한국물순환협회와 사단법인 한국인공지반녹화협회는 26일‘도시의 건전한 물순환체계 구축과 인공지반 녹화의 구축’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고 상호 협력키로 했다고 밝혔다.
![]() |
▲ 26일 한국물순환협회 사무실에서 한국물순환협회 하승재 회장(왼쪽)과 한국인공지반녹화협회 이동근 회장(오른쪽)이 ‘도시의 건전한 물순환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한국물순환협회 제공) |
이번 협약은 도시의 침수사태와 탄소중립 도시 조성과 관련하여 도시의 물순환 체계 개선과 인공지반 녹화를 통한 해결방안을 마련하고자 추진되었다.
최근의 집중호우로 서울 도심 곳곳이 침수되고 많은 인명피해까지 발생하면서 도시의 치수·방재 대책을 지금까지와는 다른 차원으로 다시 설계해야 된다는 지적이 많다.
도시침수가 반복되고 있는 것은 무엇보다도 도시화로 인해 ‘불투수 면적’은 늘어나고 녹지면적이 줄면서 빗물이 땅으로 흡수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일시에 많은 물이 하수관으로 몰려 통수능력을 상실하게 되면서 도시침수가 발생한다. 그리고 기후 변화에 따라 도시침수는 ‘예기치 못한 일회성 피해’가 아니라 ‘기후위기로 인한 일상’이 되었다는 중론이다.
현재 불투수 면적인 도시의 인공지반에 투수기능을 갖추고 녹지의 확대를 통해 잃어버린 물순환을 회복하게 된다면 집중호우로 인한 도시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평소에도 지반이 머금고 있는 물이 많아져 촉촉한 도시가 됨으로써 열축적은 줄고, 증발산에 의한 온도저감이 가능해져 에너지 수요를 줄이는 등 다양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 |
▲ 26일 한국물순환협회 사무실에서 한국물순환협회 하승재 회장(왼쪽에서 네 번째)과 한국인공지반녹화협회 이동근 회장(다섯 번째)이 ‘도시의 건전한 물순환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양 협회 관계자들이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한국물순환협회 제공) |
[저작권자ⓒ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