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R과 커뮤니케이션 용어 정리
- 한국 PR연표 수록
[티티씨뉴스=왕보현 기자]
PR실무자들이 곁에 두고 참고할 만한 용어사전이 나왔다.
한국PR기업협회는 창립 20주년을 맞아 PR과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 500여 개를 선별해 240페이지 분량의 사전을 펴냈다.
 |
▲ 한국PR기업협회가 창립 20주년을 맞아 PR과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 500여 개를 선별해 240페이지 분량의 사전을 펴냈다. 사전은 한국PR기업협회 웹사이트에서 누구나 PDF파일로 무료 다운로드할 수 있다. |
정민아 PR기업협회장은 발간사에서 “PR은 소통을 통해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데 기여하기 위해 사회의 선과 공익을 추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라며, “그런 의미에서 이번에 발간하는 PR용어사전도 좀 더 보편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자는 공익적 의미에서 비매품으로 내놓게 되었다”고 밝혔다.
용어사전의 발간에는 한국PR기업협회 20주년기념 PR용어사전 출판위원회 신성인 위원장(KPR 부회장), 중앙대 신문방송대학원 신인섭 교수, KPR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소 최진택 이사,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 연구소 정은주 연구원 등이 참여했다.
책 뒷부분에는 1945년부터 현재까지 국내 PR 분야의 변화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한국의 PR연표’도 수록했다.
티티씨뉴스는 사전에 수록된 용어 가운데 PR전문가들이 관심 가질 만한 용어를 모아서 소개한다.
가심비 ( Satisfaction with Bang for Buck )가격 대비 마음의 만족도를 의미한다. 가성비는 가격 대비 성능만 좋으면 가 격이 싼 것을 선택하는 소비 형태인 데 반해, 가심비 ( 價心比 ) 는 조금 비싸더라 도 자신의 만족을 위해 구매하는 심리적 만족감을 중시하는 소비 형태를 말 한다.넛지 ( Nudge )사람들이 더 나은 방향으로 행동하도록 이끌지만 강제하거나 폭력적이지 않 은 방법들을 통칭한다. 넛지는 원래 ‘팔꿈치로 슬쩍 찌르다’라는 뜻을 가진 단 어로 미국 시카고대학교 리처드 세일러 (Richard H. Thaler) 교수가 쓴 책 제목 으로 활용되고, 또 세일러 교수가 2017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하면서 ‘부드러운 개입’이라는 뜻을 가진 보통명사가 되었다.노코멘트 ( No Comment )의견이나 논평 또는 해명을 요구하는 질문에 대해 별로 언급하고 싶지 않거 나 밝히고 싶지 않을 때 대답을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드릴 말씀이 없습니 다 (No Comment) ”라고 얼버무리는 말로, 기자 등의 질문에 즉답을 피할 때 쓰 는 표현이다. 하지만 조직에서 안전사고, 비리 은폐, 윤리적 문제 등 부정적 이슈가 발생했을 때 ‘노코멘트’ 자체가 취재기자에게 무언가를 숨기는 듯한 인상을 줌으로써 문제의 심각성과 부정적 여론을 증폭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위기상황이 발생했을 때 언론 대응 시 ‘노코멘트’는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뒷광고 ( Undisclosed Ad )유튜브 (YouTube) 나 인스타그램 (Instagram) 등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NS) 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가 광고주로부터 협찬 받은 사실을 밝히지 않은 채 제품 리뷰나 영상 또는 사진을 자신의 SNS에 올리는 광고성 콘텐츠를 말한다. 이 같은 콘텐츠를 접하는 소비자가 협찬 사실을 명확히 알 수 있도록 ‘뒷광고’를 금지하는 공정거래위원회 예규 ‘추천·보증 등에 관한 표시·광고 심사지침 개 정안’이 2020년 9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랜딩 페이지 ( Landing Page )홈페이지 방문, 키워드 검색 혹은 배너 광고 등으로 유입된 인터넷 이용자가 최초로 보는 페이지를 말한다. 랜딩 페이지는 불필요하거나 혼란을 주는 내 용을 최대한 피하고, 방문자가 방문 목적을 쉽고 빠르게 달성할 수 있도록 안 내하는 것이 중요한데, 제작자 또는 디자이너가 랜딩 페이지를 어떤 형태 또 는 방식으로 디자인하느냐에 따라 방문자의 적극적인 참여 또는 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마케팅 PR ( Marketing PR: MPR )MPR의 개념을 처음 언급한 토마스 해리스 (Tomas L. Harris) 에 따르면 MPR이 란 마케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PR의 전략과 전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MPR 의 목적은 소비자를 대상으로 제품이나 서비스의 인지도를 높이고, 구매를 자극하며 커뮤니케이션을 촉진해 소비자와 상표 간 호의적인 관계를 만들어 가는 데 있다.바이럴 마케팅 ( Viral Marketing )네티즌들이 자신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NS) 나 메신저 등을 통해 자발적으 로 기업이나 상품에 대한 콘텐츠를 퍼뜨리도록 유도하는 마케팅 기법으로 컴 퓨터 바이러스 (virus) 처럼 확산된다고 해서 바이럴 (viral) 마케팅이라고 한다. 기업에서는 소비자의 반응을 불러일으켜 정보가 확산될 수 있도록 네티즌의 입맛에 맞는 재미있고 신선한 내용의 콘텐츠를 개발해 포스팅하고, 네티즌들 이 해당 콘텐츠에 대해 반응함으로써 널리 확산되는 것을 말한다.블록체인 ( Block Chain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로 거래 정보를 여러 대의 컴퓨터에 복제해 저장하 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기술로 블록이 체인형태로 묶여 있기 때문에 블록체인 이라고 불리며, 암호화와 탈중앙화된 분산전자장부로 무장하고 있어 해킹되 더라도 정보의 위변조가 불가능하다. 비트코인 같은 암호 [가상 ]화폐가 등장하 게 된 것도 이 블록체인 기술 덕분이다.윤리강령 ( Code of Ethics )기업, 단체, 전문협회 등의 조직에서 조직 구성원이나 회원들의 윤리적인 업 무 수행을 위해 채택한 공식적인 윤리 실천 규칙이나 표준 가이드라인을 말 한다.확증 편향 ( Confirmation Bias )자신의 신념에 따라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용하고 해석하려는 경향으로, 자신 의 신념과 일치하는 정보는 쉽게 받아들이고 그렇지 않은 정보는 무시하는 경향을 말한다.
[저작권자ⓒ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