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빅데이터, 인공지능, 디지털 트윈 등 4차 산업혁명 기술 활용
- “녹색전환과 디지털 전환의 혁신을 이루어야 할 것”
[티티씨뉴스=왕보현 기자]
빅데이터, 인공지능, 디지털 트윈 등 4차 산업기술을 활용한 물 인프라 관리를 위해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었다.
 |
▲ 16일 강남구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한국수자원공사와 한국수자원학회가 공동 주최한 ‘물인프라 시설관리분야 스마트기술 워크숍’에서 노후화되어가는 물인프라의 효율적 안전진단 및 유지관리를 위한 4차산업혁명기술기반의 스마트유지관리 플랫폼구축 핵심요소기술의 소개 및 적용방안 논의되었다. (사진=한국수자원공사 제공) |
16일 오후 한국수자원공사와 한국수자원학회는 강남구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물 인프라 시설 관리분야 스마트기술 워크숍’을 개최했다.
이날 워크숍은 노후된 물 인프라의 효율적인 안전진단 및 유지관리에 활용할 4차산업혁명기술 기반의 핵심 스마트기술들을 소개하고 적용방안을 논의했다.
워크숍은 대표적인 4차산업혁명기술인 빅데이터, 인공지능, 디지털 트윈과 더불어, 기초공사부터 완공 후 보수까지 건축물의 모든 정보를 시각적으로 재현하는 건설정보모델(BIM), 수중로봇, 레이다 손상탐지, 3차원 시각화, 스마트플랫폼 구축방안 등 8개 분야 핵심기술 발표와 토론으로 진행됐다.
특히 이번 워크숍은 환경부에서 한국형 뉴딜사업의 하나로 계획된 ’댐 스마트 안전관리 체계‘ 구축의 한 단계로 해당 기술에 대한 전문가 워크숍이어서 주목된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워크숍을 통해 스마트안전관리 및 유지관리 분야의 핵심기술 소개와 함께 전문가들의 논의를 바탕으로 정부의 물인프라 분야 그린뉴딜과 디지털뉴딜 사업의 효과적 추진방안이 모색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 16일 강남구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열린‘물인프라 시설관리분야 스마트기술 워크숍’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한국수자원공사 제공). |
전경수 한국수자원학회장은 “한국판 뉴딜의 10대 대표과제 중 데이터 댐, 디지털 트윈, 국민안전 SOC 디지털화는 노후된 물인프라의 안전관리를 위해 중요한 과제로,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민.관.학의 소통과 협력이 필수적이다”라고 강조했다.
오봉록 한국수자원공사 통합물관리본부장은 “복합적 뉴노멀 시대를 맞아 물 인프라 분야도 녹색전환과 디지털 전환의 혁신을 이루어야 할 것”이라며, “국민에게 더욱 안전하고 깨끗한 물 환경을 제공하도록 물관리 전문기관으로서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