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고가도로공원인 ‘서울로7017’에는 시계는 멈춰도 계절은 온다며 여기저기서 봄꽃들이 꽃망울을 터뜨렸다. 개나리와 그 생김이 비슷한 장수만리화는 갑작스럽게 떨어진 수은주와는 아무상관 없다는 듯 노란 꽃을 흐드러지게 피어냈다. 산골짝 개울둑에 자생하는 물푸레나무과의 장수만리화는 한국 특산종으로 황해도 장수산에 분포한다.
![]() |
▲ 영춘화 迎春花Jasminum nudiflorum 중국 원산이며 중부 이남에서는 관상용으로 심는다. 봄을 맞아드린다는 꽃이름처럼 봄에처음피는 꽃이다. 개나리의 꽃잎이 4장인데 영춘화는 6장으로 만개하면 훨씬 화사하다. 과거 급제자에게 임금이 내린꽃인 어사화로 사용되기도 했다. |
![]() |
▲ 장미과의 홍매는 원예품종으로 개량된 식물로 전국 각지에 분포해 봄소식을 전한다. |
![]() |
▲ 송광납판화라고 부르기도 하는 히어리는 지리산 일대에 분포하는 한국 특산종이다. 서울로 7017 서부역 부근에서 봄소식을 전하고 있다. |
![]() |
▲ 산수유나무는 한국·중국 등이 원산으로, 한국의 중부 이남에서 심는다. 국내에서는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과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일원, 경상북도 의성군 등에서 특산품으로 매년 출하하고 있다. |
노란 꽃망울을 활짝 터트린 산수유를 한참이나 쳐다보던 김삼규(57, 중구 중림동) 씨는 “매일 이곳을 산책하는데 파란하늘아래 노란 꽃이 눈부시다. 멀리 남쪽지방까지 가지 않았는데 어느새 집 앞에 봄이 왔다”며 “봄꽃들이 활짝 피어나면 이땅에서 코로나19 공포가 사라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
▲ 풍년화 Hamamelis japonica Siebold & Zucc 일본 원산으로 중부 이남에서 심어 기르는 낙엽 떨기나무로 꽃은 3-4월에 잎보다 먼저 잎겨드랑이에서 여러 개가 피며 노란색이다. |
시민 휴식공간으로 재탄생한 서울로 7017에는 645개의 원형화분에 총 228종의 24,085주의 다양한 수목이 자라는 아름다운 공중정원이다
[코리아 투어 프레스=왕보현 기자]
[저작권자ⓒ 티티씨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